가계신용통계와 가계처분가능소득 가계신용통계와 가계처분가능 소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계신용통계 가계신용통계는 가계부문에 대한 신용공급 규모를 나타내는 통계이다. 가계신용은 금융기관뿐 아니라 정부, 판매회사 등 기타기관이 가계에 제공한 대출과 외상구매 관련 신용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크게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분된다 현재 가계신용통계는 2002년 말 잔액부터 분기별로 제공되고 있다. 가계신용통계는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부채 규모 및 변동 등을 파악하는 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 가계처분가능소득 가계 처분가능 소득 (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은 가계가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 할 수있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1 인당 GNI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지만 총 소득에는 가..
가계순저축률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저축률은 저축을 처분 가능한 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냅니다. 마찬가지로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의 순저축을 가계 순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 양도액, 연기금의 가계 순지분 증감 조정액을 합산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사회 현물 이전 ( "사회적 트랜스퍼 인 킨드")은 가정에 현물 이전 형태로 제공되는 상품 및 서비스이며 무료 교육, 건강 관리 및 의료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또 연금기금의 가계 순지분 증감 조정액을 분모에 더한 것은 퇴직연금 등 가계가 지급하는 연금 부담금과 연금수령액의 차액을 반영해야 가계의 저축액을 정확히 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가계의 순저축률은 가계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계수지, 주택과 주택의 상호작용 가계수지(주택과 주택의 상호작용)는 가계수지(소득)로, 일정 기간의 소득(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하여 남은지, 부족인지를 표시한다. 가계 흑자가 발생하면 가계는 수입의 일부만 사용했으며 적자가 발생하면 수입 외에도 부채를 추가로 사용했습니다. 우리나라는 통계청이 가계의 소득과 지출을 조사해 국민의 소득수준과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계에 가계부를 나눠주고, 한 달 동안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 한 뒤 이를 토대로 가계수지 통계를 작성해 발표하고 있습니다.가계부의 소득 항목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양도소득 항목이 있고, 비용 항목은 식료품비, 주거비, 수도광열비, 보건의료비, 교육비 항목이 있습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이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한다.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위험 및 고위험 가구는 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취약성 ..